![](http://heraldk.com/wp-content/uploads/2016/10/20161018000677_0.jpg)
가장 흔하게 보고 있는 예능 프로그램은 우리가 쉽게 ‘게임화’라는 개념을 접할 수 있는 분야다. 예를 들어 MBC <복면가왕>이라는 프로그램은 음악 프로그램의 게임화가 극단적으로 이뤄진 경우다. 물론 오디션 프로그램이 이미 음악을 단순히 들려주고 선보이던 무대를 일종의 게임판으로 만든 장본인이지만, <복면가왕>은 여기에 복면이라는 콘셉트를 넣음으로써 게임화 경향을 강화시켰다. 어떤 면에서는 음악 자체보다 그 복면 뒤의 얼굴에 더 초점을 맞춰지는 게 <복면가왕>이라는 게이미피케이션 음악 프로그램의 진면목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KBS <1박2일>이라는 프로그램도 <6시 내 고향>의 게이미피케이션 버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지역의 볼거리, 먹거리를 알리는 방식으로서 복불복이라는 게임의 방식을 취하고 있지 않은가. JTBC <비정상회담>은 토론 프로그램의 게이미피케이션이다. 외국인들을 출연시켜 마치 게임을 하듯이 설전을 벌임으로서 여러 각국 유저들이 참여하는 토론게임 같은 느낌을 만들어낸다.
JTBC <썰전>은 이 방송의 게이미피케이션 경향이 정치라는 분야에서도 이뤄지고 있다는 걸 잘 보여준다. 처음 이 프로그램은 진보와 보수를 대변하는 인물과 방송인이 삼각테이블에 각각 앉아 특정 의제를 도마 위에 올려놓고 “썰어보는” 형식으로 시작했다. 정치적 의제에 대한 진지한 토론도 있지만 그 안에는 마치 게임 같은 발랄한 장치들이 들어 있었다. 삼각 테이블은 마치 프로게이머들의 대결 장소처럼 만들어졌고, 게임의 끝에는 진 사람의 머리에 박을 때려 깨는 벌칙도 있었다.
물론 이 <썰전>은 출연자를 교체하면서 색깔도 조금 변화했다. 박을 깨는 식의 벌칙은 사라졌지만 그래도 이들이 나누는 토론은 때론 내용 그 자체보다 서로 치고 박는 말싸움과 전원책 변호사가 던지는 “단두대를 세우라”는 식의 유행어(?)의 재미가 더 큰 주목을 받을 때가 있다. 즉 <썰전>은 정치라는 대중들이 조금은 무관심을 보이는 소재를 가져와 게이미피케이션을 시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정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치의 게이미피케이션에 대한 대표적 사례로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분석한 ‘촛불집회’의 사례는 흥미롭다. 즉 촛불집회의 실시간 생중계가 방송 리포터가 일종의 아바타가 되어 시청자와 양방향으로 소통하며 이뤄지는 일종의 게임처럼 이뤄짐으로써 더 열기를 띨 수 있었다는 것. 그는 리포터가 전경에 끌려감으로써 게임오버되는 상황이 그걸 지켜보는 시청자들을 더욱 몰입하게 함으로써 어떤 경우에는 현장에까지 나오게 만들었다고 진술한다. 즉 방송의 게임화 경향이란 능동적 참여로까지 이어지는 몰입을 선사한다는 점이다.
보통 방송이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빠지기 마련이지만 갈수록 시청률과 관심이 높아지는 <썰전>은 어쩌면 이 게이미피케이션이 현재 쏟아져 나오는 정치적 사안들과 맞물려 더 강도 높은 몰입을 만들고 있다는 반증처럼 보인다. <썰전>을 통해 보여지는 정치의 게임화. 정치적 사안만큼 중요해진 놀이적 성격은 다가오는 대선에 중대한 관건으로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