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1좌 평균 출자금 40% 증가

새마을금고 회원이 되기 위해 납부해야 하는 출자금의 1좌 평균 금액이 지난해 4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자금은 금고 자본금이 되는 돈으로, 대출 자산이 증가하는 가운데 부실이 발생해 수익성이 악화한 금고가 건전성 관리 부담을 회원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22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금고의 출자금 1좌 평균 금액은 5만5664원으로, 2022년 말 3만9927원 대비 39.4% 올랐다. 각 금고는 중앙회에서 제시한 하한 기준을 바탕으로 지역 사정에 따라 출자금을 정하는데, 지난해까진 출자금 1좌 하한이 1만원이었지만 자산이 급격히 늘어나자 자본금 충당을 위해 올해부터 2만원으로 하한을 올려잡았다.

개별 금고들도 이에 맞춰 출자금을 줄줄이 상향하면서 2022년말 406개였던 출자금 1~2만원의 금고 수는 지난해 말 13개로 크게 감소했고, 2~5만원 금고 수는 385개에서 578개로 껑충 뛰었다. 10만~30만원 사이 금고 또한 138개에서 239개로, 30만원 이상인 금고 또한 12개에서 25개로 2배 이상 불었다.

새마을금고도 다른 금융기관과 같이 자본적정성(손실이 발생했을 때 대비할 충분한 자본을 갖췄는지 나타내는 지표) 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자산이 늘면 자본도 확보해야 한다.

상호금융권은 자본이 출자금과 잉여금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자본금을 끌어모으려면 출자금을 올리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혜현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