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차 포터 일렉트릭. [현대차 제공] |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최근 4년간 국내에서 전기 화물차의 판매량이 급증한 가운데 지난해 전체 화물차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0% 수준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전기 화물차 판매량은 4만3890대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3만8461대)에 비해 14.1% 증가했다. 전체 화물차 가운데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16.8%에서 지난해 19.5%로 높아졌다. 작년 국내에서 팔린 화물차 5대 중 1대는 전기차인 셈이다.
전기 화물차 비중은 2019년까지 0.5%를 밑돌았지만, 2020년 5.8%를 기록한 뒤 2021년(11.9%)을 시작으로 3년 연속 두 자릿수를 차지했다. 반면 경유와 LPG,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화물차 판매량과 비중은 최근 3∼4년 사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경유 화물차 판매량은 2018년 23만4888대로 정점을 찍고 나서 차츰 줄어 지난해에는 16만4601대로 급감했다. 2022년 판매량(16만6968대)과 비교했을 때 2300대 이상 감소한 수치다.
LPG 화물차도 2021년에 최근 10년 내 연간 최대인 1만7359대의 판매량을 보인 뒤 2022년 1만2242대, 지난해 8662대였다. LPG 화물차 연간 판매량이 1만대도 넘지 못한 것은 2019년 이후 4년 만이다.
휘발유 화물차 역시 2020년 연간 판매량이 5900대에 달했지만 이후 매년 1000대 안팎 줄다가 작년 판매량은 2606대까지 내려갔다.
경유차는 정부의 노후 차 조기 폐차 지원 등의 영향으로, LPG차는 전기차 등으로의 수요 전환으로 각각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지자체의 보조금 지원 정책도 전기차 판매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1∼2월 전기 화물차의 국내시장 판매량은 141대다.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6059대)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말 국내 1t 트럭 시장의 대표 차종인 현대차 포터와 기아 봉고의 LPG 모델 출시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실제 지난 1∼2월 LPG 화물차 누적 판매량은 1만7435대로, 경유 화물차(1만805대)보다 더 많이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