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대신 ‘PA간호사’…정부 “1900명 증원, 제도화” 압박

간호사가 의료 현장에서 더 많은 진료행위를 할 수 있게 된 지난 8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 등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전공의 집단 이탈에 이어 전국 의대 교수들까지 사직을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진료지원(PA) 간호사의 역할을 제도화하고 그 수도 1900명 이상 늘리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2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4∼15일 47개 상급종합병원과 비상진료 중인 87개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급종합병원 4065명 등 현재 5000명가량의 PA간호사가 활동 중이고, 상급종합병원 1599명, 공공의료기관 320명 등 총 1919명의 PA간호사를 증원할 예정이다.

PA간호사는 수술장 보조·검사시술 보조·검체 의뢰·응급상황 시 보조 등을 하며 그간 위법과 탈법의 경계선상에서 의사의 역할을 일부 대신해왔다.

그동안 의료계는 활동 중인 PA간호사가 1만명을 넘는 수준일 것으로 예상해왔는데, 이번 조사에는 상급종합병원이 아닌 종합병원은 일단 제외됐다. 이달 말 332개 종합병원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활동 중인 PA간호사의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의사 집단행동 국면에서 PA간호사들의 합법화를 추진하고 있다.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PA간호사가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른 법적 보호를 받으며 원활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특히 지난 4일부터는 복지부에 '업무범위 검토위원회'를 구성해 현장 질의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내실 있는 시범사업 운영을 바탕으로 PA간호사 제도화에 필요한 조치도 추진해 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미 전공의 집단행동 8일째인 지난달 27일부터 의료기관의 장이 간호사 수행 업무 범위를 내부 위원회 구성이나 간호부서장과 협의를 통해 결정하는 '진료지원인력 시범사업'을 실시해왔다.

이후 지난 3일에는 간호사를 숙련도와 자격에 따라 '전문간호사·전담간호사·일반간호사'로 구분해 감별, 검사, 치료·처치 등 총 10개 분야 98개 진료지원 행위와 관련한 업무범위를 설정한 '보완 지침'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향후 PA간호사 표준 교육·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해 시범사업 운영의 내실을 다질 계획이다. 이달 중 수술, 외과, 내과, 응급중증 등 4개 분야에 대해 교육과 훈련을 돕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향후 심혈관, 신장투석, 상처장루, 집중영양 등 4개 분야 프로그램을 추가할 계획이다.

그간 의사들이 반대해온 PA간호사를 제도화하고 이를 통해 의사 업무 일부를 대신하게 한다는 정부의 방침은 집단행동 중인 의사들에게 압박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