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원장 “선거과정서 후보 출신지역, 성별 비하·모욕 등 혐오 없기를”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28일 시작되는 선거운동을 앞두고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인권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내고 혐오표현 사용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송두환 인권위원장은 27일 성명을 통해 “오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하여 일부 정당에서는 과거의 혐오발언 이력을 후보자 검증에 반영하는 등, 혐오정치 근절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나 일부 정치인들이 당리당략의 차원에서 혐오와 차별의 선동을 선거운동 수단으로 삼을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는 민주주의의 근간이며, 성별, 장애, 인종, 종교 등이 다양한 모든 사람들에게 정치 참여의 기회를 고루 제공하여 사회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혐오표현은 후보자와 유권자 모두를 위축시키고 건전한 토론을 방해하여 선거의 자유와 공정성을 해친다”고 우려했다.

송 위원장은 선거관리위원회를 향해 “후보자 등의 출신 지역, 성별 등 요소를 공연히 비하·모욕하는 행위에 대하여 엄중히 대처할 의지를 미리 천명하고, 선거운동 기간에 발생하는 혐오표현으로 인해 소수자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되고 공론의 장이 왜곡되는 일이 없도록 점검, 조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정당과 후보자는 민주주의 가치실현의 직접적 행위 주체로서 그 어느 때보다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갖게 하는 표현을 삼가고, 혐오표현이 발생할 경우 그에 대하여 즉시 시정조치를 하는 등 정치적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언론에도 당부의 말을 전했다. 송 위원장은 “모든 언론기관은 광범위한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는 지위에서, 인권보도준칙 및 선거 관련 보도준칙에 따라 정확하고 편견 없는 정보를 제공하고, 후보자 등의 혐오표현 사례를 과도하게 보도하지 않는 등 혐오표현 확산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혐오와 차별에 맞서 평등사회로의 전진을 위한 선택을 하는 것은 공동체 구성원인 우리 모두의 책무”라며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선 각 정당과 후보자, 선거관리 기관과 정부, 언론 그리고 시민 모두가 함께 혐오표현 없는 선거를 위해 각자의 역할에 힘써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