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게임 재도약 위해 균형 육성…30조원 산업으로 키운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이 지난달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4-2028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사전브리핑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침체기에 접어든 K-게임의 재도약을 위한 균형 잡힌 육성책이 마련됐다. 정부는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콘솔 패키지 게임과 인디 게임을 집중 육성, 연간 30조원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일 2024년∼2028년도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진흥안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2028년, 게임산업 제2의 도약 원년’을 비전으로 삼았다. ▶ 매출 30조원(연평균 5% 성장) ▶수출 120억 달러(연평균 5% 성장) ▶인력 9.5만명(연평균 2% 성장) 등이 진흥안의 목표다.

문체부에 따르면 국내 게임산업은 PC 온라인 게임과 모바일 게임 성장으로 2022년 역대 최고인 매출 22조2000억원을 달성, 세계 4위 게임 강국으로 올라섰다.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게임업계가 침체기에 접어들며 성장 둔화를 마주하며 게임업계의 구조 개편과 산업 진흥책 마련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진흥계획의 핵심은 ‘게임산업 구조 개편’이다. 정부는 PC 온라인·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성장한 국내 산업 구조 재정비를 위해 세계 시장에서 모바일 다음으로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진 콘솔 게임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로 했다.

콘솔 게임은 세계 시장에서 모바일(4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28%)이다. 북미·유럽에선 이용자 비중이 40% 이상이다. 반면 한국산 콘솔 게임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1.5%에 불과한 ‘미개척 분야’다. 다만 최근엔 ‘피(P)의 거짓’, ‘데이브 더 다이버’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콘솔게임이 배출,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판단이다.

정부는 한국 게임의 콘솔 분야 진출 확대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 소니, 닌텐도 등 주요 콘솔 플랫폼 기업과 협력해 국내 유망 게임을 발굴할 계획이다. 콘솔 플랫폼에 맞는 게임을 제작하는 업체엔 플랫폼 입점·홍보까지 연계해 지원한다.

또 콘솔 게임 제작·유통 경험이 부족한 시장 환경을 고려해 선도 기업의 제작 노하우를 공유하는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해외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게임을 선정해 컨설팅·홍보·유통을 전담하는 운용사와 연결해 다년간 지원할 방침이다.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발굴할 수 있도록 인디게임도 집중 육성한다. 인디 게임 개발사와 선도 기업을 연계하는 ‘상생 협력형 창업지원’ 사업을 도입하고, 국내 대학과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우수 프로젝트가 실제 게임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제도적 환경 개선을 위해 규제의 장벽은 낮추고, 소비자 권익 보호는 강화하기로 했다. 전체 이용가 게임의 본인인증 의무를 선택사항으로 바꿔 휴대전화 등 인증 수단이 없는 청소년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보호자가 자녀의 게임 시간을 정하는 게임시간선택제(선택적 셧다운제)는 자율규제로 전환, 게임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도록 했다.

또 성인물을 서비스하지 않는 오락실과 PC방을 청소년 고용 금지 업소에서 제외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아케이드 게임의 경품 규제도 사행성 경품을 제외하면 자유롭게 제공할 수 있는 ‘네거티브 규제’로 완화한다.

게임 이용자 보호를 위해 게임산업법에 소송 특례를 규정, 게임사가 확률 표시 의무를 위반했을 경우 손해배상 책임을 규정하고 그 증명 책임은 게임사에 둬 이용자들이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근거도 마련한다.

게임물관리위원회에 ‘게임 이용자 권익보호센터’를 설치, 게임 이용자들이 피해 신고와 상담, 소송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e스포츠 저변 확대와 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도 마련한다. 지역 연고 실업팀을 창단, 한국형 e스포츠 리그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고등학생 e스포츠 동호회 지원도 확대한다.

e스포츠 종주국으로 그간의 역사를 집대성한 복합 문화 공간을 마련, 매년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를 종합 게임 축제로 확장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전병극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은 “게임산업의 성장 둔화기에 마련된 새로운 진흥 정책을 통해 우리 게임산업이 잘하고 있는 분야를 넘어 콘솔게임 등 새로운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전할 수 있도록 했다”며 “구체적인 방안을 실천하는 한편,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부족한 부분 채워가겠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