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이탈 크지 않아”
향후 미 연준 금리 인하 속도에 영향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로베르토 싸이폰-아레발로 국제신용평가사 S&P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
[헤럴드경제=신주희 기자] 계엄 사태 직후 국채 가격 하락이 우려됐지만 국채 가격의 변동폭이 박스권에 머물면서 기대보다 국내 채권 시장이 안정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계엄 정국으로 원/달러 환율과 국내 증시가 출렁인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국고채 통합정보시스템 캡처] |
14일 금융투자협회 국고채 통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3일 국고채 3년물 금리 경우 12월 4일보다 0.085bp(1bp=0.01%포인트) 하락한 2.541%을 기록했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0.089bp가 내린 2.676%를 보이고 있다.
국채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는 국채 가격도 견조하다. 종합국고채지수(KEBI) 기준 국고채권 순가격지수는 103.3592로 전날 대비(103.0621) 0.297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는 12월 4일 2464선에서 한 때 2360선까지 후퇴했던 모습과는 상반된 행보다.
계엄·해제 사태 초반인 4~6일 외국인 순매도가 이어졌지만 국내 기관에서 이를 매수하면서 초기 대응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탄핵 국면이 본격화하면 국채 금리는 하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채권은 그나마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에 외국인 수급 이탈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경기 부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시장 금리가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가 신용등급 하향 조정이나 WGBI 취소 가능성도 매우 낮다는 판단이 우세하다”고 전망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 시나리오를 전제로 할 때, 내년 연초효과는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라며 “조기 대선이 실시되는 시기까지는 정상적인 국정 운영에 한계가 있을 수 있는 점이 경기둔화폭을 확대시키면서 국채금리가 하향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국고채 금리가 국내 정치 리스크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미 국채 가격 등이 더 큰 변수로 작용한다는 시각도 있다.
김상만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한국은 2000년 이후 양호한 정량지표(재정건전성 또는 GDP대비 정부부채비율)에 기반하 여 국제신용도가 지속적으로 상향추세를 이어왔다”라며 “그 과정에서 이미 두번의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이벤트를 소화해낸 바 있다”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국제신용도는 2000년 이후 낮은 재정건정성을 바탕으로 신용도를 높여 나갔다. 2000년대 초반 Baa2등급에서 Aa2(무디스 기준 Aa0)로 총 5계단을 올라왔다. 한국과 같은 등급의 국가는 영국, 아일랜드, 벨기에, 카타르, 아부다비 등으로 국가신용등급이 높은 국가는 14개에 불과하다.
주요 변수는 미국채의 약세폭이다. 12일(현지시간)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6bp(1bp=0.01%포인트) 오른 4.33%에 마감했다. 통화정책에 상대적으로 민감한 미국채 2년물 금리는 4bp 오른 4.19%에 마감했다. 11월 미 PPI 예상 상회 및 이전치 상향조정으로 금리가 오른 탓이다.
이러한 흐름이 지속될 경우 국고채 금리를 상승하는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 연준의 12월 연방준비이사회(FOMC)에서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추가 금리 인하 속도에는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