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미국 간보고 러시아 밀착…NLL 도발 가능성[2025 한반도 안보]

北, 트럼프 2기 출범 앞두고 ‘강경 대미 대응’ 공언
북러 ‘혈맹’ 공고화…김정은 모스크바 방문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북미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국익과 안전보장을 위해 강력히 실시해나갈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이 천명됐다”

북한은 지난해 말 2024년을 평가하고 2025년 새해 투쟁방향을 제시하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11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미 강경 대응을 공언했다.

북한은 대미 강경 노선의 배경으로 “미국은 반공을 변함없는 국시로 삼고 있는 가장 반동적인 국가적 실체이며 미일한 동맹이 침략적인 핵군사 블록으로 팽창되고 대한민국이 미국의 철저한 반공전초기지로 전락된 현실”을 들었다.

미국이 대북 적대정책을 유지한 가운데 한미동맹과 한미일 공조를 통해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만큼 대미 강경 대응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북한은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의도적인 모호성 유지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북한이 대미 강경노선을 공언하긴 했지만 미국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북미대화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으로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의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만 제한하는 대신 김 위원장에게 대북제재 완화를 포함한 대가를 주는 등 사실상 북한의 핵보유를 인정하는 거래에 나선다면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밖에 없다.

남북관계를 전쟁중인 교전국 관계로 규정한 데 따라 적대적인 남북관계도 더욱 고착화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이 ‘유사시 남한 평정 준비’를 명령한데 따라 대남 무력 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핵실험과 ICBM 발사,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도 여전히 살아있는 카드다.

특히 북한이 ‘한반도의 화약고’로 불리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도서지역 포격이나 선박 격침, 국지전을 감행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마저 나온다.

이와 관련 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 과정에서 우리 군이 NLL에서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려 한 것 아니냐는 충격적인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한국이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소추로 미국에서 새 행정부가 출범하는 시기에 외교안보사령탑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면 북한의 군사도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북한이 이 같은 상황을 이용해 한국의 군사대응 능력을 테스트하고 NLL을 무력화하기 위해 군사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을 국빈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월 19일 평양에서 열린 국빈 만찬 행사에서 건배하고 있다. [연합]


이와 함께 북한은 지난해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북러정상회담과 포괄적 전략적동반자관계 조약 체결에 이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으로 ‘혈맹’ 수준으로 올라선 북러밀착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에게 보낸 연하장에서 ‘가장 친근한 벗이고 동지’라며 각별한 친분을 과시했다.

오는 5월 9일 러시아의 전승절을 계기로 김 위원장이 북한 최고지도자로서는 24년만의 모스크바 방문 가능성도 거론된다.

내부적으로는 김일성·김정은 후광에서 벗어나는 ‘선대 지우기’를 이어가면서 김 위원장 ‘홀로서기 우상화’의 고삐를 한층 옥죌 것으로 보인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1일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난 29일 갈마해안관광지구의 준공된 여러 호텔과 봉사망(서비스네트워크)들을 돌아봤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