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인간 방패’ 26명 누구냐…경찰 신원확인 나섰다 [세상&]

1차 尹 체포시도 막아선 26명
경찰, 경호처에 신원 확인 요청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3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내 언덕길을 사람들이 올라가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준규·이용경 기자]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 계획을 준비하는 가운데, 앞서 1차 영장 집행에서 ‘인간띠’를 형성해 체포팀 진입을 가로막았던 이들의 신원 파악에 나섰다.

경찰 특별수사단(특수단)은 9일 “(지난 3일 체포영장 집행 당시) 채증한 자료 분석을 통해 신원을 확인하고 있다”고 알리며 그날 관저에서 영장 집행을 막았던 체포 저지조 26명의 신원확인 요청 공문을 전날 대통령경호처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26명은 당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특수단으로 구성된 체포팀 80여명이 관저에 진입하는 것을 가로막은 이들이다. 이들이 전부 경호처 소속 인원들인지, 일부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군병력이 포함돼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수방사 소속으로 한남동 공관 구역 외곽 경비와 경호 업무를 담당하는 55경비단과 33군사경찰경호대의 일부 병사들도 체포팀 진입 저지에 동원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그들의 방해를 ‘불법 행위’로 규정했다. 가담 정도 등을 고려해 정식 입건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또 채증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앞으로 신원 확인 대상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 다만 경호처가 신원을 확인해 달라는 경찰의 요청을 들어줄지는 알 수 없다.

경찰은 1차 체포영장 집행 이후 경호처에 대한 압박 수준을 늘려가고 있다. 박종준 경호처장을 비롯한 수뇌부를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경찰은 박 처장과 김성훈 경호처 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에 나와서 조사를 받으라고 요구했으나 이들은 응하지 않고 있다.

한편, 공수처와 경찰은 2차 체포영장 집행 시점과 방식을 조율하고 있다. 체포팀 인원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국가수사본부 특수단 인원에 더해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를 비롯한 형사들이 힘을 보탤 가능성이 크다.

경호처는 한남동 대통령 관저 출입문에 이중삼중 버스 차단벽을 세우고 곳곳에 철조망을 둘러치는 등 ‘요새화’에 여념없다. 국방부는 수방사 군병력이 공수처-경찰의 체포 저지 업무에 투입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때문에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이뤄지면 순수 경호처 소속 인력만 체포조에 맞설 것으로 보인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