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해상풍력 하부부유체 자체개발

자체모델 ‘윈드하이브 15-H3’ 개념승인 획득
15MW급 대형 발전기 수용 가능 “중량 최적화”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장 손영창 부사장(왼쪽 다섯번째), DNV 신성호 부사장(왼쪽 네번째) 등 양사 관계자가 개념 승인 수여식을 마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오션 제공]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한화오션이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핵심 기자재 ‘하부 부유체’ 자체 모델을 개발했다. 먼 바다에서도 해상풍력 발전기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이다. 해상풍력 분야를 미래 먹거리로 선정한 한화오션은 기존의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선 건조 기술에 이어 하부 부유체 기술까지 확보하게 됐다.

13일 한화오션은 노르웨이 선급 DNV로부터 해상풍력 발전기 하부 부유체 개념설계(Pre-FEED)에 대한 개념승인(AIP)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개념 승인은 기술의 안정성과 국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확인하는 인증 절차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바다 위 부유체에 발전기를 얹어 수심이 깊은 먼 바다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하부 구조물이 물 위에 떠있어야 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발전기를 지탱하는 부유체 기술력이 필수적이다. 한화오션이 이번에 개발한 하부 부유체 모델 ‘윈드하이브(WindHive) 15-H3’이 이에 해당한다. 통상 10MW가 넘는 해상풍력발전기를 수용해야 사업성이 있다고 보는데, 한화오션 모델은 15MW급 대형 발전기까지 수용이 가능하다. 또 3개의 육각기둥(Hexagon)으로 구성돼 기둥 간 연결이 용이하다.

한화오션은 15-H3이 15MW급 대형 해상풍력발전기 로터(Rotor)에 탑재될 것으로 상정했다. 로터 직경은 240m이며 발전기 날개가 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의 지름은 63빌딩 높이에 준한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하부 부유체에 터빈 하중의 집중도를 고려한 설계를 적용해 구조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을 최적화했다”고 설명했다.

한화오션은 이번 개발로 기존의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 건조 기술에 더해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까지 확보하게 됐다. 부유식 해상풍력은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특성상 소음 피해나 경관 훼손이 적은 것이 강점이다.

한화오션은 해상풍력을 미래 먹거리로 보고 해상풍력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앞서 한화오션은 ㈜한화로부터 풍력사업부를 양수한 바 있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가치사슬 확장을 통해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DNV 관계자는 “이번 개념 승인 과정을 통해 한화오션의 뛰어난 기술력이 입증되었으며, DNV의 풍력발전기 설계 소프트웨어인 블레이디드(Bladed)를 활용한 부유식 해상풍력의 통합하중해석(Integrated Coupled analysis)의 잠재력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