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선출 절차 착수…오화경 회장 연임 ‘주목’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회장 선출 논의
오화경 현 회장 임기 만료…연임 전망 무게
업계 과제 산적·관 출신 후보군도 잠잠


저축은행중앙회가 20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열고 중앙회장 선출을 위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 구성을 의결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저축은행중앙회가 차기 중앙회장 선출을 위한 공식 절차에 돌입했다. 통상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후 30~40일 내로 차기 회장을 선출하는 만큼, 늦어도 오는 4월께 차기 회장이 가려질 전망이다. 최초로 저축은행업계 출신 회장인 오화경 현 회장이 연임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20일 서울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 회의실에서 이사회를 열고 중앙회장 선출을 위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 구성을 의결했다. 통상 회추위는 각 지역 권역을 총괄하는 지부장 2명, 회원(각 저축은행) 이사 2명, 사외이사 등 전문이사 2명, 전임 회장 등 7명으로 이뤄진다. 이와 함께, 선거관리위원회(5명)도 구성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선거 일정은 추후 정하기로 했다. 다만, 두 명 이상 후보자가 경쟁하는 경선으로 진행되는 만큼, 관(官) 출신 후보자가 나와야 본격적인 선거 운동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업계에서 거론되는 관 출신 후보는 없는 상태다. 오는 4월 총회가 열리면 79개 저축은행 대표가 1인 1표를 행사해 차기 중앙회장을 선출한다. 저축은행중앙회는 “향후 선거 관련 일정은 별도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오화경 현 중앙회장은 현재는 대행 자격으로 업무를 수행 중이다. 오 회장의 임기가 지난 16일까지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달 초 회추위가 구성됐어야 하지만, 이미 한 달가량 인선이 늦어진 상태다. 그간 중앙회는 금융당국과 조율하면서 선거 일정을 정해왔는데, 12·3 비상계엄에 따른 정국 혼란 여파에 조율이 늦어진 영향이 크다.

업계에선 현 회장 연임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뚜렷한 대항마도 없는 데다 업계가 처한 현실 역시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한 저축은행 고위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 등 서민금융 공급뿐만 아니라 새 먹거리도 찾아야 하는데 시장이 어려운 상황”면서 “여기에 탄핵 정국에 여러 현안 과제도 쌓여 관료 출신 후보군도 선뜻 나서지 못한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후임 회장은 저축은행들의 부동산 PF 리스크 관리를 위한 부실채권(NPL) 전문회사 설립도 준비해야 한다. 전날 중앙회는 NPL 자회사 설립 안건과 3차 공동펀드 조성도 상정해 논의했다. NPL 자회사가 부실 채권을 상시 흡수하는 체계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압박도 거세지면서 저축은행 인수합병(M&A) 활성화도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힌다. 현재는 저축은행의 영업구역 확대 등을 막는 각종 규제 탓에 M&A가 활발하지 않다. 업계에선 한시적이라도 수도권 저축은행의 영업구역을 확대할 수 있는 합병 방안을 허용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올해부터 예금보호한도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높아지면서 저축은행이 내야 할 예금보험료 부담 조율도 후임 회장의 역할이다. 현행 예보료율은 은행 0.08%, 보험 0.15%, 증권 0.15%, 상호금융 0.2%, 저축은행 0.4% 순으로 높다. 이에 저축은행업계에선 보험료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예금보험 목표기금 달성 기간을 늘려서 목표치를 채우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