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기준금리 0.5%로 동결…트럼프 관세 등 반영한 듯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AFP]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19일 기준금리를 0.5%로 동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여파 등을 감안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은행은 회의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각국 통상정책 움직임과 그 영향을 받은 해외 경제, 물가·자원 가격 동향 등 일본 경제·물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다.

앞서 일본은행은 지난 1월 하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인상했다.

금융시장은 일본은행이 1월 금리 인상 결정과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 등이 미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관측해 왔다.

다만 일본은행은 경제와 물가가 예상한 범위 내에서 움직인다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는 의사를 거듭 표명해 온 만큼 향후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쌀값이 급등하는 등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는 점도 금리 인상 관측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NHK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속속 관세 정책을 내놓으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일본은행이) 경제와 물가 정세를 지켜봐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설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고, 이어 작년 7월에도 금리를 올리며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 탈피를 시도하고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를 대표하는 대규모 금융완화는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에 빠진 일본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금리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고 통화 공급량을 늘린 정책이다.

일본 금융시장 관계자는 일본은행이 오는 6월께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지만,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면 금리 인상을 중단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회의 결과를 설명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