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상공회의소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지역 수출 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트럼프 2기 관세정책이 끼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산하 광주 FTA(자유무역협정) 통상진흥센터가 지역 수출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관련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지원정책 의견 조사를 한 결과 88.0%가 부정적 영향을 우려했다고 27일 밝혔다.
영향이 없거나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은 12.0%에 불과했다.
관세 부과에 영향받을 품목으로는 36.2%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대상 25% 관세 부과’를 들었으며 ‘중국산 수입품 10% 관세부과’와 ‘철강과 알루미늄 25% 관세부과’에는 각각 30.9%와 24.5%가 우려를 표했다.
부정적 이유로 시장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매출 감소(73.3%)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국내외 거래처와의 교역 조건 악화(35.6%), 국내 원청기업의 현지생산 이전·확대에 따른 주문량 감소(23.3%), 해외 거래처의 거래 선 변경(14.4%) 등의 순이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지역 수출 기업의 대응 방안으로 절반(55.0%)을 웃도는 기업이 ‘동향 모니터링 중’이라고 답해 뾰쪽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는 원가절감 및 긴축 경영 돌입(21.0%), 대체 시장 발굴(7.0%), 내수 비중 확대(6.0%) 등을 밝혔다.
정부의 정책 지원 과제로 39%가 한-미 FTA 재협상을 통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들었으며 물류·통관비 지원(23.0%), 자금 지원(21.0%),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9.0%) 등도 원했다.
광주FTA통상진흥센터 관계자는 “트럼프 2기 관세 정책으로 무역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지역 수출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 경영 부담 증가가 우려된다”며 “통관 애로 지원과 FTA 활용 컨설팅, 수출국 다변화를 위한 교육과 정보제공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