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피해지역을 위해 가용수단 총동원, 車 등 산업별 지원책 발표”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일 발표하는 상호관세와 3일부터 부과하는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관세 피해지원을 위해 가용수단을 총동원하고 있으며, 조만간 자동차 등 산업별 지원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1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오는 2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 발표를 앞두고 주안국가산단을 방문, 자동차 부품, 철강, 일반 기계 업종을 중심으로 수출 동향을 점검하고 수출기업 애로를 청취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범석 차관은 이날 주안국가산단에 입주해 있는 서울엔지니어링을 방문해 용광로 설비부품, 제철소 압연설비 기계 등 생산라인을 살펴본 후, 주안·부평 국가산단에 입주해 있는 5개 수출기업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김 차관은 “미 정부의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관세조치에 이어 상호관세도 2일 부과될 예정”이라며 “미국발(發) 관세전쟁에 따른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 등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이 녹록지 않다”고 평가했다.
참석 기업들은 미국 관세정책 관련 정보제공 및 기업상담 등을 정부의 단일화된 창구에서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물류비 상승, 수출 다변화 등 기업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와 함께 미 관세조치 영향을 받고 있는 자동차 부품, 철강 분야에 대한 지원방안을 신속히 마련해줄 것을 강조했다.
정부는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을 통해 관세 등 수출 관련 정보제공과 애로 상시 지원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은 기재부·산업부·중기부·관세청·조달청·국토부·해수부·금융위·외교부·관세청·방사청 등 10개 부처와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코트라 등 수출유관기관으로 이뤄진 민간합동조직이다.
정부는 또 올해 2월부터는 KOTRA ‘관세대응 119’를 신설해 관세를 포함한 통상조치에 대한 전문 상담을 지원 중이라고 안내했다. 필수 추경에도 무역 금융, 수출바우처 추가 공급 및 핵심품목의 공급망 안정 관련 소요를 반영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해 수출기업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