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는 지난 18일 서울 CGV청담씨네시티에서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을 열고 올해 세계 시장에서의 성과와 2020년 비전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앞서 CGV는 지난 10월 23일, 중국 청두에 글로벌 100호점 CGV 청두 룽후진난의 문을 열었다. 이는 2006년 중국 상하이에 글로벌 1호점이 생긴 지 10년 만의 성과다. 중국 뿐 아니라 미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에서 CGV 간판을 내건 105개의 극장이 운영되고 있다.

CGV 측은 올 연말까지 전 세계 극장 수를 118개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내년 1분기 중에는 해외 극장 수가 국내 극장 수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13년, 해외 극장 수가 49개에 지나지 않았던 것을 떠올리면, 단기간에 이룬 비약적인 성장이다.
서정 CJ CGV 대표이사는 “해외 극장 수가 국내를 추월한다는 것은 CGV의 글로벌 비전 달성을 위한 상징적 모멘텀”이라며 “이제 국내가 아닌 글로벌 무대에서 거대 문화기업과 맞설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까지 1만 개 스크린, 7억 관객 확보할 것”=2015년 현재, CGV는 전 세계 스크린 2000여 개에서 관객 수 1억7000만 명을 모았다. 2018년엔 7000여 개 스크린에서 4억4000만 명을, 2020년엔 1만여 개 스크린에서, 7억 관객을 모으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CGV는 해외 사업에 중점을 둔 공격적인 경영 전략을 펼쳐나갈 방침이다.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벨트를 완성하고, 다양한 국가로의 진출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는 것. 국내 영화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른 가운데 활로를 개척하고자 하는 절박함이 동력이 됐다.
서정 대표이사는 “이제 우리나라 영화산업도 국내에서만 머물러선 안 되고 보다 넓은 시각으로 세계 시장을 바라봐야 한다”며 “K-팝이라는 말은 있지만 K-무비라는 말은 잘 쓰지 않는다. 토종 문화기업을 키워 한국영화의 세계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해외 극장 거점으로 ‘한류 콘텐츠’ 알린다=CGV 측은 자사의 글로벌 진출이 한류 콘텐츠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정 대표이사는 “해외에 CGV 극장이 늘고 우리영화 상영이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문화와 라이프스타일 등이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해외 극장 수가 늘면서 한국영화 상영 기회도 꾸준히 늘고 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CGV 진출 이전 한국영화 개봉 편수는 한 두 편에 그쳤으나, 진출 이후엔 연간 10편 이상으로 늘었다. 영화 뿐 아니라 한류 스타의 콘서트를 4DX로 제작해 상영하는 식으로 K-팝 공연, 발레, 뮤지컬 등의 한류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도 하고 있다.
▶미래 극장사업의 대안은 ‘특별 상영관’=CGV는 세계 영화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4DX, 스크린X(ScreenX) 등의 특별 상영관을 톱 브랜드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4DX’는 영화 장면에 따라 의자가 움직이고 바람이 불고 물이 튀는 등 오감 효과를 제공하는 특별 상영관이다. 지난 2009년 첫 선을 보인 뒤, 불과 6년 만에 35개 국에서 225개 관(한국 포함, 2015년 11월 18일 기준)까지 늘었다. 특히 올해는 전 세계 누적 관객 수가 최단 기간 1000만 명을 돌파하는 쾌거를 올렸다. CJ CGV 측은 4DX를 내년 상반기 전 세계 300개 관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영화관 양측 벽면까지 스크린으로 활용한 다면상영관 ‘스크린X’도 해외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현재 스크린X 상영관은 국내 77곳, 해외 7곳 등, 총 84곳이 운영 중이다. 2016년 100개 관 오픈에 이어, 2020년까지 북미·중국·동남아 등을 중심으로 1000개 관 이상 설치될 전망이다. 상영관 확대와 함께 전용 콘텐츠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검은 사제들’이 스크린X 버전으로 상영 중이며, 황정민 주연의 영화 ‘히말라야’도 스크린X 개봉을 앞두고 있다.
ha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