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에 현황을 파악하고, 보상안 등 후속 조치 마련을 주문하고 나섰다. 은행에서 가입한 ELS 고객 상당수가 고령층인만큼 불완전판매 소지는 없는지 등을 발빠르게 점검할 것을 요구한 상태다.
29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한 결과 대통령실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홍콩 H지수 ELS 판매현황부터 이들의 손실 상황, 문제가 된 ELS가입자들의 투자자 유형 등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것을 지시한 상태다.
대통령실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수장이 만나 비공개로 정책 현안을 논의하는 ‘F4(Finance4) 회의’를 통해 ELS 사태 진행상황을 보고받아왔다. 최근 F4회의에서도 ELS 대응 방안이 논의됐다는 후문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가입자들의 연령대, 기존 상품 가입 현황, 실제 어떻게 가입이 이뤄졌는지 등을 포함해 조사를 하도록 한 것”이라며 “이들에 대한 분류를 마치고, 원칙을 정해야 후속 작업이 진행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ELS 사태를 직접 거론하고 나선건 피해 규모가 큰데다 가입자 상당수가 고령층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현재 65세 이상 고령투자자가 금융권 H지수 ELS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나서서 금융취약층과 고령층을 챙기는 의지도 보일 필요가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대통령실은 손실 규모가 커질 가능성도 커 피해자들을 위한 발빠른 조치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은행 주장대로 ELS 가입 서류상 문제가 없을지라도, 실제 판매 과정에서 발생한 불완전판매 소지도 살펴야한다는 입장이다. 서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