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일방 철거 유감…즉각 중단 촉구”

2014 설 계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틀째인 21일 남측 가족 숙소인 북한 금강산 외금강호텔에 바라본 온정리 일대와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 너머로 해가 떠오르고 있다. 박해묵 기자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정부는 13일 “이산가족 상시상봉의 염원을 담고 있는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를 북한이 철거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철거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남북이 합의해 설치한 금강산 이산가족 등록소를 북한이 일방적으로 철거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 대변인은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철거는 이산가족의 염원을 짓밟는 반인도주의적인 행위”라며 “우리 국유 재산에 대한 중대한 침해 행위”라고 꼬집었다.

이어 “북한의 일방적인 철거행위는 그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면서 “이번 사태로 인한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당국이 져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와 관련된 법적조치, 국제사회와의 협력 등 필요한 조치들을 검토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부가 총 550억원의 예산을 들여 준공한 금감산 이산가족 면회소는 2008년 7월 개관할 예정이었지만, 당시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이 발생하면서 정식으로 개소하지 못했다. 다만 이후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정부가 주관하는 이산가족 행사에 이용돼왔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부터 위성사진을 통해 북한이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 철거를 준비하는 동향을 포착했다. 현재 단계는 본관 건물 가장 위에 있는 전망대와 외벽 타일 등을 뜯어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본관 건물은 지하 2층, 지상 12층으로 1층과 2층에 행사장, 106개의 객실로 이뤄져 있다.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시에 1층과 2층의 행사장을 사용했다.

또 지하 1층과 지상 3층으로 이뤄진 부속 건물 또한 벽체 철거를 시작했다.

북한의 이번 철거로 일부 부대시설을 제외한 우리 정부·민간 소유의 주요 건물은 모두 철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앞서 소방소 건물 등도 철거한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기본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분명한 지시가 있었던 것이 이유인 것 같다”면서 “정부와 기업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