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인재유치센터 출범…“2030년까지 첨단인재 1000명 유치”

코트라 주도 운영…‘K-테크패스 지원기관 협의체’도 발족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2030년까지 ‘K-테크패스’ 프로그램을 통해 1000명의 첨단 분야 해외 인재를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실행을 뒷받침할 전담 조직인 해외인재유치센터가 출범했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해외인재유치센터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서 현판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현판식에 앞서 ‘K-테크패스 지원 기관 협의체’ 출범식도 열렸다. 행사에는 이승렬 산업정책실장, KOTRA 강경성 사장, 첨단 업종별 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첨단산업 분야 해외 인재 유치 프로그램에는 법무부, 산업부, 기획재정부, 교육부 등 정부 부처와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기관이 참여한다. 미국 실리콘밸리·뉴욕, 영국 런던, 싱가포르 등 4개 거점을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1월 시행된 ‘첨단산업 인재 혁신 특별법’을 근거로 설립된 해외인재유치센터는 반도체 등 첨단 분야 기업의 해외인재 발굴·유치와 정착 지원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다. 유치센터는 ▷인재발굴 ▷현장사업▷정착지원 등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우수 해외인재가 있는 곳을 정확히 찾는 내비게이터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기업의 실질적 인재유치 성과 창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해외인재의 체류 만족도를 제고할 정착 초기 지원체계를 마련, 국내기업의 해외인재 사후관리 부담을 완화해준다는 포석이다.

정부는 앞서 비자 제도와 국내 정주 여건 등을 포괄하는 ‘K-테크패스’ 프로그램을 통해 2030년까지 첨단 산업 해외 인재 1000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K-테크 프로그램은 첨단산업 분야 인재를 대상으로 한 특별 비자가 신설되는 시점에 맞춰 3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