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상반기 내에 국립오페라단과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발레단, 국립현대무용단 등 5개 국립예술단체의 이사회 통합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문체부는 또 5개 단체의 행정업무를 통합하는 사무처도 신설하기로 했다. 사무처는 예산·회계·계약·홍보 등 각 단체의 경영지원 부문이 수행하던 업무를 총괄한다.
이사회가 통합되더라도 각 단체는 기존 명칭과 정체성을 유지한다. 각 단체의 단장 겸 예술감독들도 기존대로 시즌 프로그램 선정과 개별 공연 프로그램 결정, 지휘·연출·안무에서 자율성을 보장받는다.
문체부 측은 “5개 단체 간 협업을 위한 실질적 체계를 구축해 민간 교류와 해외 진출 등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공연예술의 다각화를 촉진하겠다는 취지”라며 “국립예술단체 통합 사무처와 이사회 조직 관련 세부적인 사항은 국립예술단체들과 협의해 구체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예술단체 이사회 통합 추진을 두고 일각에서는 외풍에 휘둘려 각 단체의 고유한 기능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는 목소리가 벌써부터 나온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4년에도 경영 효율을 명분으로 내세워 국립극단과 명동예술극장을 통합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며 “무리한 통합 추진으로 각 단체가 가지는 고유한 예술적 기능만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국립예술단체 관계자도 “외부 간섭이 심해져 단체의 독립성이 저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문체부 측은 “각 단체는 그대로 유지된다. 각 단체 경영업무를 지원하는 조직이 합쳐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체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내달 5일 문체위 전체회의를 열고 진위 파악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