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수소 역할 중요…투자 활성화로 생태계 키워야” [헤럴드 기업포럼 2023]

권형균 SK E&S 수소부문장이 1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헤럴드 기업포럼 2023’에서 ‘수소의 역할과 국내 수소사업 추진 현황’의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여건을 고려할 때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권형균 SK E&S 수소부문장은 1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에서 열린 ‘헤럴드 기업포럼 2023’에서 “SK는 글로벌 수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수소경제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부문장은 “탄소중립은 기후는 물론 안보, 경제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이슈”라며 “탄소 배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발전, 수송, 산업 분야에서 감축이 필요한데 산업 분야에선 수출 등을 고려할 때 단기간 감축이 어렵기 때문에 발전과 수송 분야에서 상당 부분을 부담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권 부문장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5%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원자력발전소부터 SMR(소형모듈원자로), 재생에너지, 수소, 연료전지까지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다양한 에너지원 중에서도 수소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그는 “수소는 발전 분야에서의 재생에너지 간헐성 문제와 수송 분야에서의 전기 상용차 보급 제약을 보완할 수 있다”며 “기존 에너지 산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전·후방 경제 파급효과도 크다”고 설명했다.

권 부문장은 수소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수소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와 공공 부문, 정부와 기업 간 수요·공급 불확실성에 따라 투자 활성화가 지연되고 있다”면서 “많은 투자가 소요되는 만큼 신뢰도 높은 구체적인 계획이 제시돼야 민간 투자가 뒤따를 수 있다”고 꼬집었다.

기업 간에도 수요·공급 영역에서의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부문장은 “액화수소가 공급되면 충전소도 갖춰져야 하고 결국에는 수소버스 시장도 커져야 한다”면서 “수소버스 회사가 충전 인프라 우선 구축을 이유로 생산을 미루고, 반대로 수소 공급자는 수소버스 우선 생산을 주장하며 공급을 미룬다면 이는 결국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식의 논쟁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SK E&S는 현대차와 매달 논의 자리를 갖고 수소버스 활성화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고 권 부문장은 밝혔다.

국내 수소경제를 주도하는 주요 기업이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을 발족하고 머리를 맞대고 있는 것도 민간 차원의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공감대에서 출발했다.

권 부문장은 “H2 서밋은 지난 6월 2차 총회를 열고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서밋 이니셔티브를 공동 발표했다”며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협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창출하고 적극적인 의견 개진을 통해 정부의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과 적기 시행을 지원하자는 차원”이라고 전했다.

이미 SK E&S를 포함한 주요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인 협업을 펼치고 있다.

권 부문장은 “수소사업이 스케일업(확장)하기 위해선 대규모 투자 인프라가 필요하고 이는 대기업의 힘만으로는 어렵다”면서 “정부와 민간이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수소 인프라를 구축해야 대규모 외부 투자자의 투자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SK는 국내 액화수소의 생산·유통·활용에 이르는 전 밸류체인 구축을 총괄하고 있다. 2023년 말에는 인천에 연간 3만t 규모의 세계 최대 수소 액화플랜트를 완성하며 가시적인 성과도 낼 전망이다. SK는 나아가 LNG(액화천연가스) 사업 인프라와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을 활용해 2026년까지 25만t 규모의 블루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권 부문장은 “SK의 사업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된다면 2026년부터 수소 28만t을 생산해 환경 측면에서는 나무 1억1200만그루 이상을 심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약 28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44조원의 경제적 편익을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희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