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은행 부실자산 1조달러 매입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23일(현지시간) 청산기구를 설립해 최대 1조달러어치의 은행 부실 자산을 인수하도록 하는 부실 자산 청산계획을 발표한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포스트(WP)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주축이 되고 민간 투자가들도 참여, 1000억달러의 펀드를 조성해 가칭 ‘공공투자공사(PICㆍPublic Investment Corp)’를 설립, 이 기구가 부실 자산 청산작업을 맡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 정부는 이 기구를 통한 부실 자산 매각에 헤지펀드와 사모투자회사, 연금펀드 및 미국에 본사를 둔 외국계 투자사들도 매입에 참여해 자산을 매입할 수 있도록 정부가 부실 자산 인수 투자가들에게 수십억달러를 저리로 빌려주고 매입 후 자산 가치가 더 떨어질 경우 위험을 분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CNN은 구체적으로 정부가 부실자산 매입 투자가에게 매입 자금의 85%까지를 대출해 주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크리스티나 로머 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22일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금융기관 정상화를 위한 부실자산 기금으로 1000억달러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자금의 대부분을 FRB와 FDIC에서 조성한다고 밝혔다.  기사A4면에 계속→

로머 위원장은 민간 금융기관들의 투자를 유치하는 것은 부실 자산의 인수 가격 책정 작업에 민간 투자가들의 평가가 필요하고 이와 함께 정부의 투자금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PIC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 예산 중 750억∼1000억달러를 투입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는 부실 자산 청산과 함께 재무부가 다음달 예정된 구제 대상 은행 선정에 앞서 금융권의 부실 방지를 위한 새로운 금융시장 규제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가이트너 장관의 규제안에는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 은행들의 장기 경영상태 및 경영진 보수 등에 대한 투명성 강화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은 미 정부의 새로운 금융시장 규제책은 FRB에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전체 시스템의 위험을 관리 감독하도록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지희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