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총국은 “14일 오후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를 장착한 중장거리고체연료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면서 “시험발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헤럴드경제=신대원·오상현 기자] 북한의 미래 전장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로 불리는 극초음속미사일 기술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다.
북한은 전날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에 대해 신형 고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한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이었다며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북한 미사일총국은 “14일 오후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를 장착한 중장거리 고체연료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며 “시험발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이날 보도했다. 미사일총국은 “시험발사는 중장거리급 극초음속 기동형 조종 전투부의 활공 및 기동비행 특성과 새로 개발된 다계단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들의 믿음성을 확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시험발사가 극초음속 탄두부와 함께 지난해 11월 1단과 2단 지상분출시험을 진행한 신형 중장거리급 고체연료엔진 검증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다만 북한은 속도와 고도, 사거리, 기동 형태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합동참모본부는 전날 북한의 탄도미사일이 약 1000㎞ 비행해 동해상으로 탄착했다고 밝혔다. 통상 IRBM은 사거리 3000~5500㎞로 분류하지만 북한은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북한이 이번에 시험발사한 신형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은 북한에서 약 3500㎞ 떨어진 괌과 약 6000㎞ 떨어진 알래스카까지 위협 가능한 셈이다.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기술이 지속적으로 진화발전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북한이 지난 2021년 9월 처음 시험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 화성-8형은 극초음속 속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듬해 1월 5일과 11일 연이어 발사한 극초음속미사일은 각각 700㎞와 1000㎞ 비행했다면서 측면기동과 활공재도약 등 변칙 기동해 표적을 명중시켰다고 주장했다.
더욱이 북한은 이전에도 연료 주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앰풀(ampoule)화한 액체연료를 사용했지만, 이번엔 발사 준비기간을 보다 단축시켜 은밀성과 기동성을 높인 고체추진엔진을 활용했다.
마하 10 이상의 속도로 수십㎞ 고도에서 변칙기동하며 목표를 타격하는 극초음속미사일은 현존 미사일방어체계로 요격이 쉽지 않아 ‘게임 체인저’로 불린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북한이 2022년 발사한 원뿔형 극초음속미사일은 액체연료 기반이었는데 이번엔 고체추진엔진 2단 발사체에 원뿔형 극초음속 탄두부를 장착했다”며 “전술적 운용이 용이한 고체연료발사체를 이용해 괌을 비롯한 요격망이 촘촘한 후방기지를 타격하기 위해 극초음속미사일을 고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 주장에 대해 “군은 북한의 다양한 미사일 위협 억제·대응을 위해 ‘한미 일체형 확장억제’ 실행력을 제고하고, 한국형 3축 체계 등 자체적인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만약 북한이 직접적인 도발을 할 경우에는 ‘즉·강·끝’ 원칙에 따라 압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