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가운데) K-ESG 얼라이언스 의장이 24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8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신승규(왼쪽부터) 현대자동차 전무,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 김재훈 기획재정부 미래전략국장.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
[헤럴드경제=김현일·김민지 기자]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은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ESG 공시 제도는 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글로벌 정합성과 국내 여건을 균형 있게 반영해 제도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ESG 공시기준 초안을 오는 3월 말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24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주최로 열린 제8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인사말을 통해 이 같이 강조했다. ‘ESG 정책 현황’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롯데지주, 포스코, ㈜한화, 등 40여개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가 참석했다.
김 차관은 “앞으로 ESG 경영을 잘 하는 기업이 수출시장 확보, 자본 조달, 인재 확보, 기업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통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업들에게 ESG 경영 강화를 당부했다.
이어 “작년부터 일본 주식시장이 상당히 좋은데 기업의 거버넌스(지배구조)에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김병환(오른쪽) 기획재정부 1차관이 24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제8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창범(왼쪽부터)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 김윤 K-ESG 얼라이언스 의장, 김병환 기재부 차관.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
그러면서 “우리 정부는 저탄소 기술 개발과 설비 투자, 일·가정 양립 여건 조성 등 기업의 ESG 경영을 재정과 세제 등을 통해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며 “기업들도 정부 정책방향에 맞춰 (ESG 경영에 대한) 논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윤태수 기획재정부 지속가능경제지원팀장은 ESG 공시기준 초안을 오는 3월 말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회계기준원은 지난주부터 ESG 공시 의무 대상인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242개사를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하고 있다
윤 팀장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경제단체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수렴 및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ESG 공시기준 공개초안을 3월 말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24일 한국경제인협회 주최로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제8차 K-ESG 얼라이언스 회의가 열렸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
앞서 정부는 지난해 10월 부처 간 협의를 통해 당초 2025년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2026년 이후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윤 팀장은 이에 대해 “‘2026년 이후’라는 것은 2026년이 될 수도 있고 2027년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기업들에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면 그 점을 고려해 추진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장에서는 ESG 공시와 관련해 국내 ESG 공시제도 시행 전 환경정보 공개제도 등 관련 제도, 국제기준 등과 어떻게 연계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이 공유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경협은 “우리나라는 ESG공시제도 시행이 2026년 이후로 미뤄졌지만 EU공급망 실사법 등 ESG 관련 새로운 제도 시행이 눈앞에 있는 시점인 만큼 우리 기업들의 관심이 뜨거웠다”며 “앞으로도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