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운명이 걸린 당신의 한 표 [선택 4·10]

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개원종합지원실 현판식에서 관계자가 제22대 국회의원들이 착용할 300개의 국회의원 배지를 공개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승환·박상현·양근혁·박지영 기자] 다시 선택의 순간이 다가왔다. 제22대 국회의원 300명을 뽑는 4·10 총선이 10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1만4259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이날, 유권자의 ‘한 표’가 모여서 나와 대한민국의 미래가 결정된다. 누가 1당을, 과반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윤석열 정부 국정운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21대 국회는 ‘정치 실종’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거대 양당의 진영 논리에 대화와 타협은 사라지고 대립과 반목만 남은 정치 현실이다. 양당정치를 극복하기 위해 추진했던 선거제도 개편도 스스로 무산시킨 21대 국회다.

현재 판세라면 22대 국회에서 양당정치는 더욱 견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총선의 254개 지역구가운데 제3 정당 후보의 당선이 점쳐지는 곳을 찾기 어려운 구도다. 앞서 21대 총선 전체 지역구 253개 가운데 민주당이 163석,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84석, 정의당이 1석을 얻었다. 20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105석, 민주당 110석, 국민의당 25석, 정의당 2석이었다.

선거를 하루 앞둔 이날도, 여야의 네거티브는 극에 달하고 있다. 강성 지지층 결집을 위한 극단의 진영 논리와 팬덤 정치가 막판 선거판을 점령한 것이다.

현재 여야는 역대 총선 최고치로 나온 사전투표율(31.28%)을 놓고 서로 유리한 해석을 내놓으며 지지층을 향해 막판 투표 독려에 힘을 쏟고 있다. 실제 여야는 의석수 전망을 당초보다 높게 잡았다. 기존 90~110석을 내다봤던 국민의힘은 최대 140석까지 전망하고 있고, 민주당은 과반 의석 목표를 넘어 ‘153+α(알파)’를 언급하고 있다.

김경율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전날 CBS 라디오에서 “(통상 사전투표율이 높으면) 보수정당에 불리하다는 분석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최근의 판세들을 읽어보게 되면 결코 불리하지 않다. (목표 의석수는) 120석에서 140석”이라고 했고, 한병도 민주당 총선 전략본부장은 “투표율 65% 이상이 나오면 (민주당에) 유의미한 결과를 예상하고 있다. 153석 플러스 알파(+α) 목표를 위해 달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양쪽 진영이 모두 네거티브 선거전을 통해 ‘상대편 나빠요’만을 말하고 있다”며 “건전한 선거운동이나 정책적인 논쟁은 완전히 실종된 역대 최악의 프레임 총선”이라고 지적했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이번 총선의 경우 제3 지대에 대한 기대가 높았지만 사실상 실패했다고 본다”며 “양당체제가 더욱 고착화됐다”고 말했다.

희망은 남아있다. 투표 열기가 그것이다. ‘정치 혐오’에도 총선에 대한 관심이 유권자들의 발길을 투표장으로 이끌고 있다. 지난 5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사전투표는 역대 총선 가운데 최고 투표율인 31.28%를 기록했다. 이 기세라면 22대 총선 최종 투표율 역시 총선기준 역대 최고치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투표율 속에는 여야의 강성 지지층 결집 효과도 있겠지만, 대한민국 정치를 이대로 둬서는 안 된다는 국민들의 절박함도 반영됐다고 해석된다. ‘정치 복원’에 대한 열망이 역대급 투표율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지난 5일 사전투표를 마치고 “국민 눈높이에서 보면 21대 국회는 한 번도 제대로 된 역할을 못 했다”며 “아무리 정치가 실망스럽더라도 그럴수록 투표를 많이 해서 잘못된 정치인을 심판하고 꾸짖는 것이 나라를, 시민을 위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내일의 투표는 미래 국회를 결정한다. 21대 국회에서 사라진 ‘정치 효능감’을 되살릴 하루다. 아니면 다시 4년을 기다려야 한다. 대립과 반목의 정치를 되풀이하느냐,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복원하느냐의 갈림 길이다.

김형준 배재대 석좌교수는 “지난 총선처럼 야당이 의석을 완전히 가져가면 의회권력과 행정권력이 충돌하면서 양극화가 고착화 된다”며 “대화와 타협이 이뤄질 수 있을 정도의 균형직인 결과가 나오면 여야가 극단보다는 협치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 질 것”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