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노인일자리를 찾는 2명 중 1명은 생계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노후 보장이 어려운 상황에서 일정 소득이 절실한 이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제공하는 것이 시급하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노인일자리사업 수요 추정 및 시도별 특성 분석’을 주제로 한 ‘KORDI ISSUE PAPER(제2024-02호)’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보고서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요건을 고려한 실수요층 규모를 추정하고, 17개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수요 특성을 분석했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의 참여요건을 갖춘 실수요층은 전체 노인의 10.7%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 실 수요집단의 ’향후 근로희망 사유‘는 생계비 마련 49.4%, 건강 유지 18.7%, 용돈 필요 17.8%, 여가 및 친교 10.3%, 경력발휘 및 사회기여 3.8% 순으로 조사됐다.
시도별 노인일자리사업 수요집단의 향후 근로희망 사유[한국노인인력개발원 자료] |
노인일자리사업 수요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1인 가구’가 32.2%, ‘정보화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은 72.6%로 나타났다.
노인자리사업 수요집단 중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은 강원(45.2%), 충북(43.2%), 광주(41.4%)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화사회 적응에 어려움’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경북(90.5%), 광주(85.7%), 대구(85.2%)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 수요집단이 희망하는 노인일자리 사업유형은 ‘공공형’ 53.8%, ‘사회서비스형’ 28.7%, ‘그외 민간형’ 10.6%, ‘공동체 사업단’(구. 시장형 사업단) 6.9%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일자리사업의 정책대상 규모는 2023년까지 전체노인 대비 9%대에 머무르다 올해 전체노인의 10.3% 수준으로 확대됐다. 내년 노인일자리사업 규모는 전체노인의 약 10.5% 규모(109만8000명)로 확대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제3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종합계획(‘23~’27)‘에서 ‘향후 2027년까지 노인인구의 10% 수준으로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가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노인의 사회참여 욕구의 증가 등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며 “늘어나는 정책수요에 따라 노인일자리사업의 지역별 정책수요 분석과 함께 정책여건 조성을 위한 민간기관의 적극적인 참여가 긴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