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한은 “국무총리 탄핵소추안 통과, 시장 변동성 확대…국제사회도 주시”

“불안정한 상황 지속되면 대외신인도 부정적 영향”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와 한국은행은 30일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회의)에서 “지난주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이날 개최된 F4회의에는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해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국제사회가 한국의 국정 컨트롤 타워가 조속히 안정을 찾을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면서 “지금과 같은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면 대외신인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우리 경제 전반에 직·간접적으로 충격이 더해질 수 있다”고 봤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이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그러면서 “무엇보다도 국내 정치 상황이 조속히 안정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해 시장 상황을 24시간 예의주시하며,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금융·외환시장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한은의 대응 여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충분하다”면서 3분기 9778억달러 수준의 순대외금융자산 규모, 세계 9위 수준인 4154억달러의 외환 보유액, 27조원 수준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등 시장안정프로그램 잔액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시장에서 한 방향으로 쏠림 현상이 과도하게 나타날 경우 추가적인 시장안정조치도 적기에 하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외국인의 국채투자 인프라 확충, 외환시장 인프라·접근성 개선 등 외환수급 개선 노력과 함께 외국인 투자(FDI) 촉진을 위한 지원도 ‘202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최상목 부총리 대신 이 총재가 주재를 맡았다. 최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에 국무총리 직무대행, 무안 제주항공 참사에 따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까지 ‘1인 4역’을 소화하면서 물리적으로 회의 주재가 어려워진 데 따른 것이다.

F4회의는 ‘경제 투톱’인 경제부총리와 한은 총재가 긴밀히 공조하며 시장에 일관된 메시지를 전한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큰데, 극심한 정국 혼란 속에 경제현안 대응을 위한 회의체 개최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