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덕 교수 “중국은 한복도 중국 문화라고 주장”
“많은 해외 관광객 방문하는 장소 방치 안 돼”
“많은 해외 관광객 방문하는 장소 방치 안 돼”
호주 캔버라 소재 전쟁기념관에서 중국풍 옷을 한복이라고 설명해 논란이 되고 있다.[서경덕 교수 인스타그램] |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풍 옷을 ‘한국 전통의상’이라고 소개한 호주 전쟁기념관에 수차례 항의했지만,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며 시정을 호소했다.
서경덕 교수는 10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누리꾼들 제보를 받아 호주 한인들과 호주 전쟁기념관에 문제를 제기했지만 아직까지 시정되지 않고 있다”며 주의를 환기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전쟁기념관은 중국풍 옷에 태극기와 함께 ‘한국 전쟁 당시 어린이 전통의상’이라는 설명을 붙여 놓았다.
올해 초 박물관을 방문한 누리꾼이 이런 사실을 확인하고 관련 사실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서 교수는 “지금 전시된 옷은 깃과 소매의 재단 방식, 색 배합, 자수 등이 중국풍이며, 한국 전통의상은 한복”이라는 내용의 메일을 전쟁기념관 측에 보내놓은 상태다.
그는 호주 전쟁기념관은 호주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기념관이자 많은 해외 관광객이 방문하는 곳이기에 이런 오류를 내버려 둬서는 안 된다며 관람객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이른 시일 내에 바로잡을 것을 요구했다.
서 교수는 “중국은 한복도 자신의 문화라고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는데, 이럴수록 세계 곳곳의 잘못된 한복 정보를 빠르게 고치고 세계인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