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경호처 대테러과 직원으로 보이는 인물이 순찰하고 있다. [연합] |
삭제됐다가 하루만에 원상복구
경직적 문화 뚫고 ‘반발’ 목소리
尹측 “무기사용 지시, 가짜뉴스”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이 다가온 가운데 대통령경호처에서도 내부 균열이 감지되고 있다. 경호처 특유의 폐쇄적·수직적 조직문화를 뚫고 경호처 내부망에는 ‘영장 저지는 위법’이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박종준 전 경호처장의 이탈 이후 김성훈 경호차장 체제로 재편됐지만, 장시간 대치 등으로 경호처 내부 직원들의 동요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정치권과 경호처 등에 따르면 경호처 내부망에 최근 “수사기관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할 수 있다”, “수사시관 영장 집행에 협조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글이 올라왔다. 글에는 수사기관의 영장집행이 경호대상자에 대한 ‘위해’로 보기 어렵다는 내용도 담겼다.
해당 글을 둘러싸고 내부 직원들의 동요가 커지자 김 차장의 지시로당 글은 삭제됐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12일 오후 글은 다시 원상 복구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시 게재된 과정 또한 삭제 지시에 따른 내부 반발에서 비롯됐다. 경직적인 경호처의 평소 분위기를 고려할 때, 이같은 ‘항명’이 나온건 극히 이례적이다.
경호처 내 파열음은 다른 곳에서도 노출되고 있다. 한 언론보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11일 경호처 간부들과 가진 오찬에서 2차 체포영장 집행 시 무력사용 검토를 지시했다고 알려졌다. 경호처 4급이상 간부들 상당수가 12일 김 차장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이에 대해 집단 반발했다는 것이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호처 간부 회의에서 김성훈 차장 등 강경파에게 사퇴 요구가 터져 나왔다’는 경호처 내부 제보를 공개하기도 했다. 체포영장 집행을 둘러싼 대치가 장기화되면서 경호처 직원들의 피로도도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경호처는 이번 사태에 대해 추가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날 무력사용 검토 보도에 대해 “근거 없는 제보로 허위의 사실을 공표하거나 대통령이 물리적 충돌을 부추기는 듯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모두 ‘가짜뉴스’”라고 밝혔다.
또 “대통령은 평소 일상적인 업무 매뉴얼에 의한 적법한 직무수행을 강조했을 뿐 위와 같은 지시를 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대통령 관저 앞이 극단의 갈등이 표출되는 만큼 경호가 엄중해질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현재까지 경호처는 2차 체포영장 집행에서도 강력 저지 방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체포영장 집행에 대비해 경호처는 대통령 관저에 대한 방어도 강화한 상태다.
한편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첫 변론은 오는 14일 열린다.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로 8년만에 열리는 탄핵심판 변론으로 윤 대통령은 첫 변론기일에 출석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신 이날 오전 윤 대통령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미국 LA 대형 산불과 관련한 메세지를 내놓았다.
윤 대통령은 “미국 LA 대형 산불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며 “강한 돌풍으로 진화에 어려움이 크고 피해가 계속 확산되고 있다고 하니, 너무나 안타깝다”고 적었다. 이어 “불의의 피해를 입으신 분들께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미국 국민 여러분께 위로의 마음을 전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