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빈 “마스터 속 난 좀 헷갈리는 캐릭터…힘 빼고 연기했죠”

이병헌-강동원 사이에서 줄타기
애매모호한 役, 영화 흐름에 집중

“연구파 병헌은 아이디어 자판기
꽃미남 동원은 만능운동 상남자”

김우빈의 연기는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 능청스러우면서도 카리스마 넘치고, 시크하면서도 다정다감한 남성을 자연스럽게 연기해낸다. 최근 종영한 드라마 ‘함부로 애틋하게’에서는 죽음을 앞둔 청년이 느끼게 되는 깊은 감정까지 표현하면서 연기의 깊이를 더해나갔다.

그런 김우빈이 21일 개봉한 범죄오락액션영화 ‘마스터’(감독 조의석)에서는 쉽지 않은 입체적인 캐릭터 박장군을 맡았다.


‘마스터’는 조 단위의 사기 사건을 둘러싼 주인공들의 속고 속이는 추격을 그렸다. ‘조희팔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 그래서 희대의 사기꾼 진현필 회장(이병헌)의 이름 초성들이 조희팔과 똑같다. 여기서 김우빈은 진 회장과 지능범죄수사대 김재명 팀장(강동원) 사이를 오락가락하며 아슬한 줄타기를 한다.

“이병헌 강동원, 두 선배가 있다고 하니, 영화를 안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성격이 분명한 두 선배의 캐릭터와 달리 나는 좀 헷갈리는 캐릭터다. 어느 편인지도 일관되지 않다. 그래서 조금 애매하고 모호하게 연기했다. 내가 막내인데도 분량이 많아, 중간에서 흐름을 놓치게 되면 영화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또 욕심 내는 순간 영화가 산으로 간다. 영화 흐름을 유지하는 선에서, 힘을 빼고 연기했다.”

김우빈은 새로운 장르, 새로운 인물을 만들어내고 싶었다. 특히 친구로 나오는 안경남(조현철 분)과의 관계에 신경을 많이 썼다.

“사회 생활을 많이 해도 과거 친구를 만났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원래의 표정이 나오더라. 안경남을 만날 때는 천진난만한 모습이 나온다.”

김우빈은 익살맞은 연기를 천연덕스럽게 소화하는 데 대해 “내 성격안에 그런 모습이 분명 있는 것 같다. 이게 비슷해요 라고 얘기할 수는 없지만 거기에서 궁금한 점, 재미있는 점, 관객 입장에서 느끼는 점 등의 상상을 덧붙여 캐릭터를 완성시킨다”고 말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후 금융계에 종사하는 아버지 직장때문에 전주에서 중교교 시절을 보낸 김우빈은 중1때 이미 모델을 꿈꿨다. 모델로 꿈을 정하기 직전에도 전교 5등의 우등생이었다. 남앞에서 제대로 말도 못하는 내성적 성격이었지만, 중1때 179㎝일 정도로 키 하나는 컸고, 부모가 적극 응원해줘 고교때도 모델학과 준비를 할 수 있었다.

김우빈은 모델학과 재학 시절 모델학과 교수가 되려고 했다. 모델업계에서 뼈를 묻으려고 했다. 대학생으로 모델로 활동하면서 광고 미팅을 자주 가지게 됐다. 한 자동차 광고 현장에서 감독이 연기를 시키자 멘붕이 일어난 것.

“모델도 감정 표현을 할줄 알아야 하니 연기 수업도 있지만, 바보가 된 기분이었다. 그래서 연기를 배우다 지금까지 왔다.”

김우빈은 연기는 모델처럼 기본은 있지만 정답이 없다는 데서 매력을 느낀다고 했다. “모델도 한 컷안에 내 감정과 컨셉트를 담는다. 정답은 없고, 정답에 가까울 것 같은 근사치를 찾으려고 노력하고 고민한다. 이런 과정이 정답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선배들도 늘 이런 고민을 하면서 지금까지 오지 않았을까.”

김우빈은 이병헌과 강동원 등 선배들의 연기 테크닉보다는 열정을 보고 더욱 놀랐다고 했다.

그는 “선배들은 컷이 되자마자 모니터를 꼼꼼히 체크하신다. 감독이 OK를 해도 더 하려고 한다. 이렇게 오래 한 분도 쉽게 하지 않았다. 편한 장면도 그냥 안 넘어갔다”면서 “촬영하다 보면 힘들 때도 있다. 스태프들과 함께 하는 촬영장을 즐거운 공간으로 만들려고 노력하는 선배들의 모습에 반했다”고 전했다. 이어 “병헌 선배는 아이디어 자판기다. 그만큼 진 회장이 되어봤다는 얘기이고 연구를 많이 한다는 증거다. 나도 후배가 생긴다면 이런 식으로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고, “동원 선배는 순정만화속 꽃미남인데 농구, 테니스, 족구, 포켓볼 등 거의 모든 운동을 잘하는 상남자라 놀랐다”고 했다.

그는 김은숙 작가의 드라마 ‘상속자들’과 이경희 작가의 ‘함부로 애틋하게’의 연기도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다.

“김은숙 작가님 글은 애드립이 필요없다. 대사 대로만 하면 된다. 최영도라는 이름으로 살 수 있었다. 운이 좋았다. 요즘 ‘도깨비’를 보고 있는데, 너무 재미가 있어 김은숙 작가님께 문자를 보냈다.”

김우빈은 답답하지만 각박하고 삭막한 세상에 온기를 불어넣는 사랑법을 보여준 ‘함부로 애틋하게’는 각별하다고 했다.

“ ‘함애’는 지금까지 내가 받은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선물이다. 28살에 느끼기 힘든 걸 경험해봤다. 시한부는 낯선 단어였다. 만약 시한부였다면 막연했지만 돈을 있는 대로 대출받아 써보겠다는 초등학생 같은 생각을 했었다. 내가 너무 큰 걸 놓치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김우빈은 “ ‘함애’ 마지막회 죽기 전 신준영(김우빈)이 셀프카메라로 사람들에게 고맙다고 말하는 게 좋았다. 시청자들도 힘을 주었다. 아름다운 기억이자 추억이었다”고 전했다. 김우빈과 대화하면 할수록 인간적인 냄새가 났다. 삶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는 인터뷰였다.

서병기 선임기자/wp@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