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권리 보장 위해 과정 투명히 공개”
콘크리트 둔덕, 블박 등 유족 질문 잇따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엿새째인 3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대합실에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조사단과 함께 유가족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조사를 맡고 있는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가 3일 유가족을 만나 “유족 및 국민들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해 사고조사 과정에서 공청회 등을 통해 과정을 투명히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사조위는 여객기 참사 조사를 최대한 신속히 마무리짓겠다는 방침이다.
사조위가 현장 브리핑에 배석한 건 이날이 처음인 만큼 유족들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콘크리트 둔덕’을 비롯해 사고원인 및 이후 조사상황에 대한 질문을 쏟아냈다. 사조위 측에선 ‘추후 조사 예정’이라는 답변이 반복됐고, 유족 사이에선 “저희가 모르는 상황이 너무 많다”, “왜 소방팀과 구조팀은 대기않고 있었나” 등 답답함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사조위는 이날 사고와 관련해 현장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사조위에 따르면 사고발생 통보~최종보고서 공표·발송 등 12단계 중 4단계인 조사단 구성·운영 단계로 지난달 31일부터 한미합동조사단을 구성했고 관제사 인터뷰, 현장 드론촬영 등을 완료했다. 수거한 음성기록장치(CVR)는 현재 녹취록을 작성하고 있고, 커넥터가 손상된 비행기록장치(FDR)는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로 보내 합동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다음주 중 조사관 2명이 미국으로 출발한다.
사조위 조사단장은 “사조위는 공정하고 투명한 사고조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자 법률에 따라 독립된 조직으로 한 점의 의혹이 없도록 사고조사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질의응답 과정에서 유족들의 질문이 현장 곳곳에서 나왔지만 아직 조사 초기단계인 만큼 명확한 답변은 없었다.
한 유족은 울먹이는 목소리로 “사고 상황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고 싶은데 블랙박스 내용을 유족에게 따로 공개가 가능한가”라고 물었고, 사조위 측은 “CVR 관련 내용은 상황에 따라 공개 여부를 결정할 것이고 FDR은 최종보고서에 중요한 부분은 다 수록된다”고 답했다.
사고 직후 구조작업과 관련한 유족의 질타가 나오기도 했다. 또다른 유족은 “긴급한 상황이었다면 관제탑에서 화재팀, 응급구조팀을 출동시켜서 대기하고 있었으면 단 한 분이라도 더 살 수 있었을 것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조사단장은 “응급대기 부분에 대해서도 확실히 조사해 최종보고서에 포함시키도록 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둔덕이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와 관련한 질문에 대해서 조사단장은 “저희가 현장조사 초기단계”라며 “사고가 발생한 위치와 부품 위주로 조사하고 있고 추가로 지속적으로 하나씩 다음 단계로 넘어가며 조사를 할 것이라 질문 내용은 아직 확인하지 못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이슈를 가지고 그게 사고 원인이라고 단정짓지 않는다”며 “모든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최종적으로 나가고 있어서 섣부른 판단을 가지고 말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 한 유족은 “(사조위가) 알 권리에 대해 말했는데 사고 직전에 멈춘 화면 밖에 못 봤고 저희가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다”며 “제대로 알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조사단장은 “질문하신 자료 공유에 대해선 중간에 이슈가 있을 때 그런 부분들을 공개할 예정”이라며 “결과에 대해 빨리 확인하고 싶은 건 유족분들의 당연한 말씀”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