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파산 초읽기

미국 최대 자동차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가 파산보호 신청에 대비한 사전 정지작업에 착수하는 등 ‘파산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 재무부는 GM에 대해 오는 6월 1일까지 파산보호 신청 준비작업을 마칠 것을 지시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13일 보도했다.
 
NYT는 또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자동차산업 태스크포스(TF)가 지난주 GM 관계자와 디트로이트 및 워싱턴의 자문역 등과 협의를 했고 이번주에도 관련 협의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지시는 GM이 채권단과 280억달러에 달하는 출자 전환 협상에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자동차 노조와의 의료보험 출연금 삭감 협상도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존 폴 맥듀피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지난달 오바마 행정부가 GM의 회생 계획안을 거부한 이후 GM의 파산보호 신청이 기정사실화됐다”며 GM은 독자생존에 필요한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재 검토되고 있는 시나리오는 신속한 구조조정을 위한 ‘외과수술’ 방식으로, 기존 회사를 ‘굿 컴퍼니(신생 법인ㆍ뉴 GM)’와 ‘배드 컴퍼니(잔존 법인ㆍ올드 GM)’로 분리하는 것이다. 
 
GM의 우량자산으로 구성된 굿컴퍼니를 신설해 2주 정도 후에 파산보호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브랜드나 공장 등 부실자산과 직원들을 위한 의료 보조 약정 등 회사 측 부담은 배드컴퍼니에 남겨 몇 년간에 걸쳐 청산한다는 구상이다. 

재무부 관리들에 따르면 굿컴퍼니와 배드컴퍼니에 각각 50억~70억달러, 700억달러 정도의 구조조정 및 청산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또 GM에 대한 구조조정이 완료되려면 135억달러에 이르는 의료 보조 약정 문제와 한때 GM의 자회사였으나 현재 파산보호 상태인 자동차부품업체 델파이의 자구책 마련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미 정부가 GM에 대출한 구제금융 134억달러 중 일부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GM의 부채를 줄이고 채권단의 채무 회수를 제한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양춘병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