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재무부가 10개의 탄탄한 은행들에게 구제금융(TARP) 자금의 조기상환을 허용한 가운데 한인은행들도 이에 대한 심도있는 검토 작업에 착수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2월까지 TARP 자금을 받은 총 6개의 한인은행들 가운데 커먼웰스비즈니스은행을 제외한 5개 은행이 TARP 자금을 조기상환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구체적인 검토 작업에 들어갔다. 재무부는 자본시장이 꽁꽁 얼어붙어 있던 지난해 4분기에 우선주를 매입하는 방식(CPP)으로 은행들에 신규 자금을 투입했다. TARP 자금을 수령한 6개 한인은행들이 재무부로부터 투자받은 금액은 총 2억1091만9000달러에 이른다. 은행들은 지원받은 금액에 대해 연 5%의 배당금을 분기별로 나눠 재무부에 지급해야 한다. <표 참조>
배당율이 5%일 뿐 TARP 자금을 수령하면서 동시에 재무부에 판매한 보통주(비상장은행은 우선주) 매입 권리 및 기타 비용을 포함한 실질비용은 9%를 상회한다. 현재의 자본시장 사정을 감안하면 싼 자금일 수 있지만 금융시장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던 금융위기 이전을 감안하면 은행들 입장에선 결코 싼 자금이 아니다. 2월과 5월 두차례에 걸쳐 재무부에 지급한 한인은행들의 배당금 총액은 463만여달러에 이른다. 특히 최근 들어 일부 은행들을 중심으로 한 조기상환이 ‘건강한 은행이기에 돈을 일찍 갚는다’는 메시지로 받아들여 지고 있는 점도 은행들이 조기상환이라는 대전제 속에 이에따른 득실을 따지는데 적극 나서고 있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불경기에 따른 대출손실 증가세가 언제 안정을 찾을지 알 수 없는 점은 자본비율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 큰 지금 은행들에게 비용 이외의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 고민을 안기고 있다.
뉴저지주에 위치한 밸리내셔널뱅크(심볼:VLY)는 지난 4일에 총 3억달러의 TARP 자금 중 7500만달러만 먼저 상환한다고 발표해 많은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미 나라은행의 이종문 이사장과 중앙은행의 정진철 이사장은 주총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TARP 자금을 조기상환한다는 기본 방침을 세웠다’고 말했다. 그외 은행들에 문의한 결과 커먼웰스비즈니스은행을 제외한 윌셔, 태평양, US메트로 등 3개은행 역시 조기상환을 적극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윌셔은행의 조앤 김 행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9%가 넘는 비용이 드는 TARP 자금을 잘 활용해야 하는데 시장 상황상 어려운 점이 많다”며 “현재로선 증자보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자금인만큼 좋은 기회가 오면 이 돈을 활용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연내 조기상환 가능성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태평양의 조혜영 전무는 “조기상환을 최대한 빨리 하기 위해 이사회에서 또한차례의 증자를 적극 고려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증자에 대한 세부사항을 결정한 뒤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염승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