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 Koreaheraldbiz.com | |
올 상반기 한인은행들의 부실 대출 처리액이 2억달러를 넘어섰다. 남가주지역 12개 한인은행들이 감독기관에 제출한 분기영업실적보고서를 조사한 결과 올 상반기중 한인은행들이 문제가 있는 대출들을 손실로 처리한 대손상각 (charge-offs) 규모는 총 2억577만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표 참조> 이는 지난해 상반기 1억3755만달러에 비해 49.60%나 늘어난 것으로 아이비은행을 포함한 13개 은행이 2008년 한해동안 기록한 1억3340만달러를 이미 7000만달러이상 넘어선 수치다. 이 추세라면 올 한햇동안의 대손상각 총액은 4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지난 1분기에는 지난해(3634만달러)의 두배가 넘는 8738만달러를 기록했고 2분기엔 1억1839만달러(지난해 1억121만달러)로 크게 불어났다. 지난해와 비교할때 올 상반기 동안 대손상각이 줄어든 곳은 한미은행과 중앙은행, 신한뱅크아메리카, 그리고 태평양은행 4곳에 불과했다. 대손상각은 은행들의 주요 수입원인 대출에 대한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할 수없이 상환 불능으로 처리한 것으로 대손상각이 커졌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성이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처럼 한인은행들의 대손상각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지역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지면서 융자 상환금을 납입하지 못하는 사업체 및 개인들이 부쩍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융자 담보로 설정된 상업용 부동산의 가치가 지속적인 경기 침체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적정수준의 대손충당금을 유지해야 하는 은행들에게 커다란 중압감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 은행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계속 문제 대출을 털어내고 있고 조금이라고 상환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대출은 어떻게든 유지하면서 빠른 경기 회복을 기대했는데 올들어서도 계속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더이상 잡아두지 못하는 상황이다”면서 “경기 회복이 이처럼 더디게 진행된다면 올 하반기에도 한인은행들은 적지 않은 대손상각을 쏟아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제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