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 마감..다우 11p 하락

23일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지난주 종가보다 11.66포인트(0.09%) 내려간 12,708.8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0.62포인트(0.05%) 오른 1,316.00을, 나스닥종합지수는 2.53포인트(0.09%) 떨어진 2,784.17을 각각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이날 미국 경제지표나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가 없는 가운데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 주목했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정부는 민간 채권단 측에서 그리스 국채 교환 조건과 관련해 `최선’이라고 제시한 방안을 사실상 거부할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따라 자발적인 민간채권단 손실분담(PSI)을 위한 국채 교환 조건을 둘러싼 그리스 정부와 민간채권단 협상이 이번 주 내내 계속될 것으로 관측됐다.

올리 렌 유럽연합(EU) 경제·통화담당 집행위원은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 회의에 참석하러 가면서 “PSI에 관한 협상을 가급적 이번 주에 결론 낼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도 “협상이 어렵겠지만, 그리스 2차 지원 프로그램이 오는 3월까지 이행돼 이에 따른 구제금융이 집행되기를 바란다”며 협상이 계속 될 필요가 있다는 의중을 내비쳤다.

이날 시작된 유로존 재무장관회의는 이틀간 열리며 그리스에 대한 구제금융을 비롯해 신(新)재정협약, 유로안정화기구(ESM)의 자금 규모와 운영방식, 경기침체 대응 방안 등 유럽의 경제위기와 관련한 중요 현안을 논의한다.

그리스에 대한 2차 구제금융 프로그램은 `민간 부문 참여(PSI)’ 문제로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다.

지난해 EU 정상회담에서 민간 부문의 그리스 국채 상각률을 50%로 합의했으나 만기가 돌아온 채권의 장기 채권 교환 조건 등에 관한 이견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그리스가 불가피하게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그리스 정부와 국채교환 조건을 놓고 협상을 하는 국제금융협회(IIF)는 EU, 국제통화기금(IMF), 유럽중앙은행(ECB) 등 이른바 `트로이카’와 협상이 타결되지 못할 것이라는 보도를 부인했다.

국제유가는 유럽연합(EU)이 이란산 원유 수입금지 조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으로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주 종가보다 1.25달러(1.3%) 오른 배럴당 99.5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25달러(1.1%) 상승한 배럴당 111.11달러에서 움직였다.

EU 외무장관들은 이날 브뤼셀에서 회의를 가진 뒤 이란 핵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이란 원유 금수조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란으로부터 새로운 원유를 수입하거나 구매하는 계약 체결이 즉각 금지되고 기존 계약은 오는 7월1일까지만 유지된다.

또 이란 중앙은행의 자산을 동결하는 한편 이란 중앙은행 및 공공기관과 금을 비롯한 귀금속을 거래하는 것도 금지했다. 5월부터는 이란산 석유화학 제품 수입도 금지된다.

이런 금수조치가 나오자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부당한 제제와 협박같은 방법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라며 이 조치가 이란의 (핵)권리를 막지는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헤쉬마톨라 팔라하피셰 의원도 이란은 전략적 요충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권리가 있다면서 EU의 추가 제재로 봉쇄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경고했다.

양측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도 높아지자 원유 공급에 대한 우려가 확산돼 가격은 올라갔다.

이런 지정학적 불안은 뉴욕 금 가격에도 영향을 미쳤다.

2월물이 지난 주말보다 12.80달러(0.8%) 오른 온스당 1,677달러에 거래를 마쳐 6주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