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진작을 위해 고소득층의 해외소비를 국내로 돌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우리나라 해외소비 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2016년 전체 가구의 해외소비 가운데 5분위가 차지하는 비중은 49.6%였다.같은 해 5분위 가구의 소득 비중은 38.0%, 소비지출 비중은 31.2%였다.
소득, 소비지출 비중보다 5분위의 해외소비 비중이 11.6%포인트, 18.4%포인트 높은 것이다.시계를 2005∼2015년으로 확대해봐도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 점유 비중은 큰 차이가 없다.
5분위 가구의 해외소비 점유 비중은 2005년 52.0%에서 2007년 59.3%까지 치솟았다.글로벌 금융위기 후인 2010년 54.4%로 내려앉았으나 2012년 59.8%로 다시 상승했고 2015년 54.0%를 기록했다.
해외소비는 국민이 해외에서 쓴 돈을 의미한다.민간소비를 계산할 때도 포함되는 항목이다.
국민의 해외소비는 꾸준하게 늘었고 국내 소비의 증가 속도보다 빨랐다.해외소비는 2000∼2009년 연평균 14.5%, 2010∼2017년 연평균 8.7%씩 늘었다.
반면 국내 소비는 2000∼2009년 연평균 3.6%, 2010∼2017년 연평균 2.1%씩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이 때문에 민간소비 대비 해외소비 비중은 꾸준히 확대해 지난해 4.3%에 달했다.
2000년 이후 해외소비가 감소한 때는 카드 사태가 일어난 2003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008∼2009년, 남유럽 재정위기인 2011년뿐이다.
이때를 빼면 해외소비는 매년 0.2∼0.8%포인트가량 민간소비를 끌어올렸다.해외소비는 소득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해외여행 수요 등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측면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이 1% 증가하면 해외소비가 1.47% 늘어난다.소비 여력이 많은 고소득층의 해외소비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소비에 비해 해외소비만 지나치게 늘어나면 민간소비 증가가 국내 경제 개선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보고서는 “국내 관광, 교육산업 등 서비스업 경쟁력 확대로 해외소비를 국내 소비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고소득층의 소비가 국내에서 확대될 수 있도록 고급 상품·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의 국민소득 대비 해외소비지출 비중은 2016년 기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6%보다 낮다.1인당 평균 해외소비 지출은 한국이 569달러였다. 국민소득 1천억달러 이상 주요 54개국 가운데 중위권인 22위였다.룩셈부르크(5천58달러), 싱가포르(3천947달러), 홍콩(3천314달러)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