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끝내 불출마…구심점 잃은 친박계 ‘의총 혈투’예고

단일지도체제땐 정병국 출마
오세훈·유승민등 거취도 주목
모바일투표 놓고 계파갈등도

친박(親박근혜)계 통합 당권 주자로 거론되던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이 6일 당 대표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전당대회 구심점을 잃어버린 친박계는 8선의 서청원 의원을 ‘대타’로 내세우려 하지만, 서 의원 역시 불출마 의지가 강해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

결국 이날 오후로 예정된 의원총회에서는 전당대회 규칙이라도 유리하게 정하려는 친박계와, 이를 저지하려는 비박(非박근혜)계의 혈투가 촉발될 전망이다. 단일성집단지도체제(이하 단일지도체제)의 도입과 당권ㆍ대권 통합, 모바일투표 도입 여부 등 주요 변수의 향방에 따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유승민ㆍ정병국 새누리당 의원 등 원내외 거물들의 거취도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은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 대표 경선에 나가지 않겠다고 밝혔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최 의원은 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12년 10월 7일 대선 패배의 먹구름이 몰려오던 순간 ‘저에게 돌을 던져달라’며 대선 후보 비서실장직을 사퇴하던 그날보다 수백 배 무거운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당의 화합과 박근혜 정부의 성공, 정권 재창출을 위해 다시 한 번 저를 바치고자 한다. 이번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했다. 최 의원은 이어 “저의 불출마를 계기로 당내에서 계파라는 이름으로 서로가 반목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며 “(민생ㆍ민본만 생각하는) 저의 진심을 아는 분들이 ‘음해를 받느니 당 대표 출마해 명예를 회복하라’고 권했지만, 사를 위해 공을 외면한 적이 없다”고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최 의원이 당 대표 경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함에 따라 8ㆍ9 전당대회 규칙을 결정할 의총 역시 격랑 속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친박계와 비박계의 의견이 가장 첨예하게 엇갈리는 안건은 단일지도체제 도입과 당권ㆍ대권 통합 여부다. 우선 친박계는 단일지도체제 도입에 반대한다. “당 대표 경선에 단 4~5명만 출마해도 30%대의 낮은 지지율로 당선될 텐데 대표성 측면에서 다득표자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차점자를 최고위원으로 선출하는 순수집단지도체제와 다를 것이 무엇이냐”는 것이 표면적 이유다.

비박계는 “최 의원이 당 대표 경선 불출마를 선언한 가운데, 마땅한 대안이 보이지 않으니 최고위원이라도 최대한 많이 배출하려는 속셈”이라고 반박한다. 이에 따라 비박계 5선인 정병국 의원은 “지도체제 결정 이후로 당 대표 경선 출마선언을 미루겠다”고 했다. “지도체제 변경은 정권 재창출을 위한 강력한 지도자 탄생을 위한 것이며, 혁신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을 의총에서 뒤집을 수 없다”는 것이다. 정 의원은 의총 결과를 보고 이르면 오는 10일 출마선언을 할 예정이다.

당권ㆍ대권 통합 여부는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원외 거물과 대권을 염두에 두고 당권 도전을 포기한 유승민 의원의 거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현재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자는 대선 1년6개월 전에 모든 선출직 당직을 그만두도록 하고 있다(상임고문 제외). 이들의 전당대회 출마를 가로막는 요소다. 김용태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에는 대선 후보를 재건하는 장이 돼야 한다”며 “유 의원과 오 전 시장 등 대권 주자들이 전당대회에 나오는 것이 좋다”고 했다.

모바일투표 도입 역시 양 계파가 주목하는 주요 변수다. “8ㆍ9 전당대회가 올림픽과 휴가기간 중 열리는 만큼 모바일투표를 통해 전당대회 첨여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 비박계의 주장이다. 반면 친박계는 “시기상조”라고 했다. 모바일 투표로 ‘풀뿌리 당심’의 영향력이 커지면 친박계가 가진 조직력이 무의미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박명재 사무총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오늘 선거관리위원회 규정안을 상정하고 의결할 예정”이라며 “후보자 등록 등 제반사항을 관리할 것”이라고 했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Print Friendly